root계정의 외부접속을 막고
하위권환의 계정으로 작업하는것이 안전하다
DB구축후 phpmyadmin과 연동,
동작을 확인 했지만
서버재부팅후 접속에 문제가 있었다
문제를 고친후 하위계정을 만들고
root의 접속을 막을것이다
즐거운 주말을 DB와 함께 보내게되었다
와^^
/1045 의경우 명백히 오타가 맞지만
복붙해서 시도하고 한글자한글자 타이핑했기때문에 오타일 가능성은 없었다
/1698 의경우엔 웹으로 root접속을 시도할수없다
db 구축할때 root의 접속을 막았다
터미널에서 접속할수있으니
root를 열어주거나 일반계정을 만들면된다
mariaDB에서
mysql -u root -p 로 /비밀번호 입력
리눅스OS의 root계정 비밀번호가 아니라
데이터베이스의 root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한다
create user create user '아이디'@'%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
위의 qwer 과 qwer1234칸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적는다
Query OK가뜨면 생성 완료
이제 권한을 주자
ID 라고 적힌곳에 아이디를 적는다
grant all privileges on *.* to '아이디'@'%';
쿼리 ok를 확인한다
사용자 계정의 접속을 허용 시키려면
UPDATE mysql.user SET Grant_priv='Y', Super_Priv='Y' WHERE user='아이디';
FLUSH PRIVILEGES;
그후 root 의 외부접속을 막아야 한다
원하는ip만 접속을 허용 할수도있고
로컬만 허용 할수도있다고 한다
본인의 phpMyAdmin conf파일의 위치를 찾아 아래내용을 기입하면된다
Require local = 로컬접속만 가능
Require all denied =차별없이 가능
그후 phpmyadmin에서 root 접속을 시도
/1968 에러또는 root접속 불가 메세지를 확인한다
이제 관리자 계정을 막고 일반 사용자계정으로
웹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수 있다
'걸어서 개발 속으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 서버에 내 홈페이지 올리는 법(html탬플릿) (0) | 2021.08.29 |
---|---|
Amazon EC2 인스턴스에 nginx 올리기 (0) | 2021.03.22 |
CentOS 8에 LEMP구축 (0) | 2021.02.05 |
CentOS 부팅USB 만들기, 설치 까지의 모든것 (1) | 2021.01.29 |
구글에 내 블로그 검색 (0) | 2021.01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