걸어서 개발 속으로

내 서버에 내 홈페이지 올리는 법(html탬플릿)

손건호 2021. 8. 29. 00:15

 

서버구축 하는법

https://pushvalue.tistory.com/14

 

CentOS 8 에 LEMP 구축 (Linux ,nginx,(MariaDB), PHP)+tomcat

본인의 아이피 확인 #ifconfig local 이 아닌 본인 랜카드 인터페이스명의 아래줄 의 이것이 본인의 ip ip가 나온다 #ping 8.8.8.8 #ping google.com 끄려면 컨트롤+z 외부와 연결되어있어야 yum 을 통해 아파치,

pushvalue.tistory.com

 

 

 

내 홈페이지를 만들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보자

 

우선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도 보여줄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

서버에서 준비해줘야 할 웹페이지 세팅을 해보자

 

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ip혹은 도메인을 입력하면 뜨는 페이지가

root 폴더의 index.html이다

 

 

root 위치를 확인하고 싶다면

#vi /etc/nginx/conf.d/default.conf

이나

#vi /etc/nginx/nginx.conf

에서 

server 항목의 root 값을 확인한다

 

 

 

 

여기서 html 파일의 정보를 우선순위로 불러온다

개인이 만든 홈페이지 폴더를 올려주면 바로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다

꼭 여기가 아니라 원하는 위치로 지정 가능하다

 

 

인터넷에 나와있는 무료 탬플릿을 사용해 봤다

https://html5up.net/

 

HTML5 UP

Responsive HTML5 and CSS3 site templates designed by @ajlkn and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license.

html5up.net

무료 탬플릿을 받으면

폴더 안에 html과 assets폴더 가 들어있다

 

다운된 파일을 그대로 root 폴더에 넣고 url로 확인한다

 

파일이 안올라간다면 root폴더의 권한문제 인지 확인해본다